전체 글218 마삭줄_20190601 '마삭나무' 또는 '마삭덩굴' 로 불립니다.남부지방의 숲속에서 자라며, 줄기는 적갈색이고 털이 있으며,공기뿌리가 나와 다른 물체에 붙어 자랍니다.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우산 모양의 꽃차례에흰꽃이 모여 핍니다. 지날수록 아이보리색으로 변합니다.꽃부리는 5개로 갈라지고 수평으로 펴져서 바람개비 모양이 됩니다.꽃의 모양이 향기가 비슷한 '백화등'있는데, 마삭줄 보다 잎이 크고 둥급니다. 꽃말은 '바람개비꽃', '하얀웃음' >> 2019년 6월 1일 / 제주 비자림 / Canon EOS 700D 2019. 6. 14. 산딸나무_20190601 중부이남의 산지에서 자랍니다.가지가 층층나무처럼 층을 이루어 달립니다.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입니다.뒷면은 털이 있습니다. 가지끝에 꽃잎으로 보이는 총포조각 4장이 있고, 가운데 달리는 머리 모양의 꽃차례에 꽃이 핍니다.사진들은 아직 꽃이 덜 폈습니다. ^^;열매는 붉은 색의 딸기모양 입니다.저는 열매를 보고 처음엔 구찌뽕인줄 알았답니다. ^^;꽃말은 '희생' >> 2019년 6월 1일 / 제주 사려니숲길 / Canon EOS 700D 2019. 6. 14. 박쥐나무_20190601 잎맥 뻗음이 마치 펼쳐진 박쥐날개의 실핏줄 같다하여 박쥐나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숲속의 큰나무 밑에서 잠깐씩 들어오는 햇빛으로 겨우 살아갑니다. 꽃 모양도 독특하여 손가락 두 마디 길이나 됨직한 가늘고 기다란 연노랑의 꽃잎이 도르르 말려 뒤로 젖혀집니다. 속의 노랑 꽃술을 다소곳이 내밀고 있어서 어쩐지 가련해 보이기도 하는 나무예요 -- (제주도 비자림 설명)* * * * * *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껍질눈이 있습니다.잎은 어긋나고 원 모양이며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집니다.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손바닥모양의 잎맥이 두드러집니다.꽃잎은 6~8개이고 뒤로 또르르 말리며 수술은 노란색이고 암술은 수술보다 약간 길게 나옵니다.열매는 둥근 달걀 모양이고 짙푸른 색으로 익습니다. >> 2019년 6월 1.. 2019. 6. 14. 약모빌(어성초)_20190601 5~7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 입니다.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이며,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총포조각입니다.잎을 따서 비벼보면 비린내가 강하게 납니다.잎뿐아니라 전초에서 비린내가 나서'어성초'로 더 알려져 있습니다. 꽃말은 '기다림' >> 2019년 6월 1일 / 제주 비자림 / Canon EOS 700D 2019. 6. 14. 연령초(연영초)_20190525 중부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라며, 5~6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 입니다. 20~40cm 높이로 자라며, 줄기끝에 3장의 넓은 잎이 달걀 모양으로 돌려나고 꽃은 잎 사이에서 1개씩 흰색으로 핍니다.꽃잎도 3장, 꽃받침도 3장 입니다. 저도 처음보는 거라...처음 다음 꽃검색을 해보니병아리꽃나무, 개별꽃, 배나무꽃 등으로검색을 하더군요... ^^;PlantSnap 이라는 앱을 사용해서 검색해보니Trillium (연령초속의 식물) 로 나오길래연령초라는걸 알아냈습니다. ^^ 꽃말은 '그윽한 마음' >> 2019년 5월 25일 / 소백산 / Canon EOS 700D 2019. 6. 13. 홀아비바람꽃_20190525 4~5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몸이 5갈래로 갈라지며 갈라진 각각의 갈래는 또다시 3~5개로 갈라집니다. 꽃받침이 꽃잎처럼 생겼으며(흰색), 5~6장이 납니다. 꽃줄기는 흰색 꽃이 1개씩 달립니다.그래서 홀아비...^^;이꽃도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종입니다.꽃말은 '비밀스런 사랑' >> 2019년 5월 25일 / 소백산 / Canon EOS 700D 2019. 6. 13. 피나물_20190525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1~3개 정도의 란색 꽃이 핍니다. 매미꽃과 비슷한데, 매미꽃은 뿌리에서 곧바로 꽃줄기가 나와서 꽃이 피는 점이 다릅니다.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피 같은 액이 나온다하여 피나물인데, 실제로는 밝은 주황색의 액이 나옵니다. 나물로 먹기도 하지만 독성이 있으므로 삼가세요~ ^^;꽃말은 '봄나비' >> 2019년 5월 25일 / 소백산 / Canon EOS 700D 2019. 6. 13. 큰앵초_20190525 5~6월에 깊은 산의 습지 근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잎자루가 깁니다. 긴 꽃줄기가 나와 끝부분에 층을 이루어 홍자색 꽃이 돌려가며 핍니다.좀 이른것인지 3개체 밖에 보이지 않더군요...^^; 꽃말은 '행운', '행운의 열쇠' >> 2019년 5월 25일 / 소백산 / Canon EOS 700D 2019. 6. 13. 모데미풀_20190525 4~5월에 습기가 많은 숲 속에서 자랍니다.여러해살이풀로 전국 산지에서 자라지만 소백산의 군락지가국내 최대라고 합니다. 4월 부터 5월 초순 정도에 가장 많이 볼수 있습니다. 저는 별 기대없이 간 것이라 '볼수 있었다~' 정도에 만족해야겠습니다. ^^; 모데미풀도 바람꽃들과 같은 미나리아재비과 입니다. 꽃잎처럼 보이는 것(흰색)은 꽃받침이고, 진짜 꽃잎은 노란색(꿀샘)을 띈 것입니다.소백산의 깃대종. 1속 1종의 한국특산식물.이름의 유래는 최초 발견지인 경남 운봉의 모데미(지리산)에서 자라는 풀이라는 뜻입니다.꽃말은 '슬픈 추억' >> 2019년 5월 25일 / 소백산 / Canon EOS 700D 2019. 6. 13. 닥나무_20190506 몇년전에 처음보고 다음해에 다시 갔을땐 개발되어 베어지고 없어서 실망했었는데, 이번에 그 근처에서 군락지를 봤네요...^^;닥나무의 꽃은 한그루에 암꽃과 수꽃이 따로 펴서 암꽃을 자세히 찾아봤는데, 안보이더군요... 좀 높아서 그런것도 있겠지만 아쉽... ^^;뽕나무과라 그런지 잎이 뽕나무 같습니다. 열매는 구찌뽕과 비슷하구요... 이쪽 산행하는 시기가 황매산에 철쭉 필때라. 다른 시기에 갔을때 더 유심히 살펴봐야겠네요... 열매도 봤으면 싶고...수피로 종이를 만들고, 어린잎은 식용하며, 열매는 약용합니다. >> 2019년 5월 6일 / 감암산 / Canon EOS 700D 2019. 6. 13. 숙은처녀치마꽃_20190505 지난해에도 5월 5일에 만나러 갔었는데, 날씨 때문인지 시기가 좀 늦어버렸네요. 설명은 지난해 것을 그대로 가져옵니다. ...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늘푸른여러해살이풀. 윤기나는 뿌리잎이 방석 모양이 펼쳐진 모양이 치마를 두른 것 같아서 처녀치마 입니다. 꽃이 필 무렵에 겨울을 보낸 잎은 점점 말라 없어지고 새잎이 파랗게 돋아납니다. 성성이치마, 치마풀 이라고도 합니다.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는 조금 다릅니다. 아무생각없이 처녀치마로 올려놓고, 다시 고칩니다... ^^; 처녀치마는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모양이 보이고, 꽃봉오리의 밑둥이 둥그스름~합니다. 숙은치마의 꽃봉오리 밑둥은 뽈록뽈록~하구요~ 꽃말은 '절제, 추억' 입니다. >> 2019년 5월 5일 / 영축산 / Canon EOS 700D 2019. 6. 12. 설앵초_20190505 지난해 설명 그대로 가져옵니다. ^^;...높은 산의 바위틈에서 자라며,5~6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사진상에 보시면 지난해의 꽃줄기가남아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잎의 모습이 밥주걱모양 입니다. 꽃말은 '행운의 열쇠' >> 2019년 5월 5일 / 영축산 / Canon EOS 700D 2019. 6. 12. 이전 1 2 3 4 5 ··· 19 다음